[Spring] 단위 테스트, JUnit의 개념 및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방법

1. 단위 테스트 하나의 모듈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가장 작은 단위의 테스트이다. 통합 테스트의 경우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이 커질수록 테스트 시간이 길어지지만, 단위 테스트의 경우 해당 부분만 독립적으로 테스트하기에 코드의 변경이 있어도 빠르게 문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leanCode 책에 의하면 깨끗한 테스트 코드는 다음 5가지 규칙을 따라야 한다. Fast - 빠르게 동작하여 자주 돌릴 수 있어야 한다. Independent - 테스트는 독립적이며 서로 의존해서는 안된다. Repeatable - 어느 환경에서도 반복이 가능해야 한다. Self-validating - 테스트는 성공 또는 실패로 결과를 내어 자체 검증되어야 한다. Timely - 테스트는 적시에, 테스트하려는 실제코드를 구현하기 직전에 구현해야 한다. ...

November 14, 2023 · Jun Kang

[PostgreSQL] 명시적 JOIN 절로 플래너(Planner) 제어, 성능 향상

1. 개요 PostgreSQL은 쿼리 Planner가 가장 효율적인 쿼리 플랜을 세워 쿼리를 실행시킨다. 이번 포스트는 쿼리 Planner가 플랜을 검색하는 과정을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플랜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쿼리 선택지를 제한함으로써 시간을 줄이지만, 그만큼 모든 경우를 비교하는 것이기 아니라서 최고의 플랜을 찾을 수 없기에, 테이블 scan 방식 및 인덱스 등 쿼리의 작동방식을 명확히 이해한 후 설정이 필요하며, 설정전 성능비교, 설정 후의 데이터 증감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플래너의 작동 2-1. JOIN Planner의 작동방식을 보기 위해 간단한 조인 쿼리를 확인해 보자 ...

November 8, 2023 · Jun Kang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의 개념

1. 스프링 컨테이너(Spring container)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 컴포넌트이며 주요한 용도는 다음과 같다. 객체의 생명주기 관리 생성된 객체들의 추가적인 기능 제공 스프링에서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고 하며 컨테이너는 내부의 빈 라이프사이클(생성, 제거 등)을 하며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 스프링에서는 xml 파일로 설정하나 스프링 부트에서는 자바 클래스에서 설정가능하다. 주요 설정으로는 [수동] @Configuration - 어플리케이션 구성정보를 등록 @Bean - 메서드를 모두 호출하여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자동] @ComponentScan - 해당 클레스클래스 패키지와 하위의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클래스를 탐색하여 빈등록 ...

November 7, 2023 · Jun Kang

[Spring] IoC(제어의 역전) & DI(의존성 주입)의 개념

1.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 IoC란 메인 프로그램에서 컨테이너나 프레임워크로 객체와 객체의 의존성에 대한 제어를 넘기는 것을 말한다. 프레임워크 없이 개발할 때는 각 객체에 대한 라이프사이클 (생성, 설정, 초기화, 호출 등)을 개발자가 직접 관리한다. 하지만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객체의 생명주기를 프레임워크에 위임하여, 프레임워크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고 흐름을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의 역전은 객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것이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객체를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으로, 클레스 간의 결합을 느슨하게 하여 테스트와 유지관리를 더 쉽게 설계하는 원칙이다. ...

November 6, 2023 · Jun Kang

[WEB] JWT 토큰 인증의 개념과 장단점

1. JWT의 개념 JWT는 웹에서 사용자 인증/인가에 사용하는 토큰으로 Json Web Token의 줄임말이다. 웹에서 사용되는 JSON 형태의 토큰 표준 규격이며 쿠키와 유사하지만, 서명된 토큰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공개키, 개인키의 쌍으로 사용할 경우 서명된 토큰은 개인키를 보유한 서버에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보통 Authorization HTTP 헤더를 Bearer <토큰> 형태로 설정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토큰에 포함되어 있는 서명정보로 위변조를 검증하며 토큰은 Base64 인코딩 되어있다. 2. JWT 구조 header, payload, signature가 각각 . 으로 구분되어 있다 ...

November 1, 2023 · Jun 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