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클래스 로딩 과정(Java Class Loading Process)이란?

1. 클래스 로딩 과정 (Java Class Loading Process) 이란? 자바 클래스 로딩 과정 (Java Class Loading Process)은 클래스 로더가 클래스 파일을 찾아 동적으로 JVM의 메모리 영역인 Runtime Data Areas에 올려놓는 과정을 말한다. 자바에서 객체가 어떻게 형성/관리 되는지 이해하려면. java 파일의 소스코드가 어떻게 JVM 위에 로딩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고, 클래스 로딩할 때 발생하는 문제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과 같은 에러)를 쉽게 해결하고, 코드상 동적으로 클래스 로딩하는 구문 이해하는데 필요하다. 2. 클래스 로더 3단계 과정 클래스 로더는 다음 3단계 과정을 거쳐 클래스 파일을 로딩한다. ...

October 23, 2023 · Jun Kang

[Linux] 스왑 메모리(Swap Memory)의 개념과 적용방법

1. 리눅스 Swap 메모리 설정 (예제는 EC2 환경에서 진행) 1-1. Swap 메모리 확인 swapon -s free -h shared =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의 데이터에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buff/cache = 버퍼와 캐시를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커널이 성능향상을 위해 캐시 영역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buff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이 아닌 시스템 성능향상을 위해 커널이 사용하고 있는 영역 cache = 캐시영역의 메모리, I/O 작업을 더 빠르게 하기 위해 커널에서 사용 ...

October 23, 2023 · Jun Kang

[Spring] 스프링부트 + Mybatis 데이터소스 여러개 연결 (스프링 다중 데이터베이스 연결)

다음은 스프링부트 + 마이바티스 프로젝트에 2개 이상의 데이터소스를 연결하는 예제이다. 기존 스프링 데이터베이스 연동이 되어있다고 가정 후 진행되며, 신규 데이터베이스는 구별이 쉽도록 new 데이터베이스로 명칭 한다. 1. 신규 데이터베이스 접속정보 추가 추가될 데이터베이스의 속성을 application.properties에 추가 #기존 DB Setting spring.datasource.url={url}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driverClassName} spring.datasource.username={username} spring.datasource.password={password} spring.datasource.schema={schema} #추가될 DB Setting new.datasource.url={url} new.datasource.driverClassName={driverClassName} new.datasource.username={username} new.datasource.password={password} new.datasource.schema={schema} 2. 데이터베이스 연결 빈 속성 추가 기존 데이터베이스 연결 설정을 하는 DatabaseConfig.java 외에 NewDatabaseConfig.java신규로 추가한다. 기존 DatabaseConfig.java ...

October 20, 2023 · Jun Kang

[Spring] 스프링 배치 ItemReader의 개념, (MybatisCursorItemReader, MybatisPagingItemReader 구현)

1. ItemReader란? 스프링 배치의 ItemReader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처리한다. 대부분의 데이터 형태는 이미 ItemReader로 제공하고 있기에 ItemReader, ItemStream 인터페이스 자체를 구현할 필요는 없다. ItemReader는 Chunk 기반 트랜잭션을 다루며 Cursor, Paging 가 대표적인 2가지 방식이다. 2. Cursor, Paging 형식 2-1. Cursor기반 ItemReader JDBC ResultSet의 기본 기능이다. ResultSet이 Open 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반환된다. 데이터베이스와 연결 맺은 후 데이터를 Streaming 방식으로 I/O이다. 현재 행에서Cursor를 유지하며 다음 데이터를 호출하면 Cursor를 한 칸씩 옮기면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하나의 Connection으로 배치가 끝날때까지 사용되기에 Batch가 끝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연결이 먼저 끊어질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와 SocketTimeout을 충분한 값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모든 결과를 메모리에 할당 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많아진다. Chunk 사이즈 만큼의 트랜잭션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Cursor 기반 ItemReader 구현체 ...

October 19, 2023 · Jun Kang

[네트워크] TCP/IP의 개념

1. TCP/IP 란? 패킷 전송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로 이루어져 있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대로 받는 것을 보장하지 않지만,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 준다. IP가 패킷 간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데만 집중한다면 TCP는 Endpoint 간 통신할 준비가 되어있는지, 데이터 전송이 제대로 되었는지, 데이터가 변질되지 않은지, 데이터 유실은 없는지 등을 점검한다. 즉 IP주소 체계를 따르고 IP Routing을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여 TCP의 특성을 활용하여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 신뢰성 유지한다. ...

October 18, 2023 · Jun Kang